
철도전기신호전공
철도전기신호전공 역시 철도기관사를 목표로 철도차량 운전면허를 기본적으로 취득합니다. 특히 전기철도라고 부를 정도로 일부 디젤기관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운영하고 있고, 점차 자동화, 무인화로 철도시스템이 전환 되면서 전기ㆍ신호ㆍ통신 기술이 첨단화됨에 따라 철도운전·전기신호전공은 전기(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를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있습니다.
기관사로서 운전직 취업을 위한 로드맵은 1학년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취득, 2학년 철도차량운전면허 취득, 3학년 철도운송산업기사 취득으로 먼저 철도관련자격증 가산점을 확보한 후, 철도공기업 필기시험인 NCS를 비교과 과정에서 매학기 학습합니다. 또한 전공시험 대비를 위해 2학년부터 전기(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자격증 과정을 시작하여 자격증과목과 동일한 운전직의 전기일반, 전기통신직의 전기이론, 신호직의 전자공학을 동시에 준비하도록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운전직 외에 전기직, 신호직 등 동시에 3개 직렬 선택이 가능함은 물론 철도 외 타 공기업 취업 시 필요한 전기기사 자격증과도 일치하여 양질의 취업을 위한 진로 선택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