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대학교
  • 학과HOME
  • 동영상
철도전기융합학과
철도전기융합학과
  • 학과소개
    • 인사말
    • 전기철도분야의 전망
    • 학과소개
    • 특성과 운영방향
    • 학과행사
    • 학과의 자랑거리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 교수소개
    • 교수별소개
  • 입시정보
    • 입학정보
  • 취업코너
    • 졸업후진로
    • 토익시험정보
    • 취득자격증
    • 자격증취득현황
    • 취업현황
  • 커뮤니티
    • 학과공지
    • 갤러리
    • 동영상
    • 페이스북
    • Q&A
메뉴
  • 학과소개
    • 인사말
    • 전기철도분야의 전망
    • 학과소개
    • 특성과 운영방향
    • 학과행사
    • 학과의 자랑거리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 교수소개
    • 교수별소개
  • 입시정보
    • 입학정보
  • 취업코너
    • 졸업후진로
    • 토익시험정보
    • 취득자격증
    • 자격증취득현황
    • 취업현황
  • 커뮤니티
    • 학과공지
    • 갤러리
    • 동영상
    • 페이스북
    • Q&A

HOME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교육과정소개

  • 이수체계 및 학년별교육과정

학년별

□ 교육과정 체계도

erail_01

  • ▸철도기초프로젝트(1),(2) (Basic Projects for Railways (1),(2))

    철도전기통신 분야의 요소기술과 신기술을 비롯한 사례조사 및 발표, 각 요소기술을 사용한 철도전기통신분야의 회로,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설계를 통하여 전공지식뿐 만아니라 팀워크, 발표력 및 자료조사 등의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기초 능력을 기른다.

  • ▸철도학개론(1),(2)(Introduction to Railways (1),(2))

    미래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철도의 가치를 다양한 철도시스템과 융합하여 이제 철도에 갓 입문한 학생들이 철도를 쉽게 이해하고 미래 철도산업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 분야별 철도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고속철도, 경량전철, 및 자기부상열차 등 국내 철도시장의 시스템 변천과정 등에 대한 조사 및 해외 철도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해외철도 산업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국제철도시대의 경쟁력 있는 철도인재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 ▸전기전자기초실험(1)(2)(Basic Experiments for Electrics and Electronics)

    전기전자 및 통신회로의 기초가 되는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등 수동 소자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사용한 기초적인 직류회로 및 교류회로의 실험을 다룬다. 소자의 구분과 식별, 계측기 사용법, 회로의 구성 등을 배운다.

  • ▸팀워크와리더쉽(1),(2),(3),(4)(Teamwork & Leadership(1),(2),(3),(4))

    직장인으로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소양인 팀워크와 리더쉽을 음악을 통하여 함양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교과목이다.

  • ▸데이터통신(Data Communications)

    철도통신망에 필요한 요소 기술로서 데이터와 정보, 부호와 신호, 데이터의 전송, 오류의 검출과 제어 등을 배운다

  • ▸전기회로이론(Electrical Circuit Theory)

    전기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회로 해석법을 다룬다. 3상회로, 비정현파교류, 단자망, 필터, 과도현상, Fourier 변환 및 Laplace변환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한다

  • ▸전자회로(1),(2)(Electronic Circuits(1),(2))

    반도체 소자의 구조와 기본원리에 대해 공부하고,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및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원리를 알아본다. BJT와 FET의 소신호 등가 모델과 증폭기 해석 및 설계에 대해 학습하고, 귀환증폭기의 원리 특성을 이해한다. op-amp의 특성을 이해하고, op-amp를 이용하여 발진기 등 응용회로 구성에 대해 공부한다.

  • ▸논리회로및실습(1)(2)(Logic Circuits & Practice)

    디지털회로의 기초가 되는 2진연산, 불대수를 비롯하여 조합회로, 플립플롭 및 순차회로를 익히고 그 응용으로서 논리회로 설계 법을 다룬다.

  • ▸철도전공프로젝트(1),(2) (Practical Projects for Railways (1),(2))

    도시철도 운전, 차량, 전기, 신호 등 전 분야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하고, 철도의 운영과 사고 시 조치요령, 각종 시설과 철도차량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심층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철도차량의 운전과 전기 신호 등 기반시설에 대해 철도현업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술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 ▸도시철도시스템개론(Introduction to Urban Railway System)

    도시철도 및 일반철도 시스템의 차량, 궤도, 시설, 전철전력, 신호, 통신 등 전반적 분야의 기술에 대한 사항과 이를 운용하는 운영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정보통신기기(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Devices)

    정보통신에서 사용되는 여러 기기들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배운다. LAN, Hub, AP, WiFi, 모뎀, 인터페이스 장치, 중계기, 게이트웨이, DSU, 라우터 뿐 만 아니라 컴퓨터와 같은 고정형 장비 및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장비들에 대해서도 배운다.

  • ▸전자회로응용(Applied Electronics)

    다이오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사이리스터 등의 개별소자 및 응용회로, 능동필터, 선형 및 비선형 연산증폭기 회로, 발진기, 정전압 조정기의 동작원리 및 응용회로에 대하여 배운다.

  • ▸철도신호공학(Railway Signalling Engineering)

    철도차량의 안전 운행에 필요한 철도신호 시스템의 원리와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지상 신호설비, 열차제어설비, 차상신호설비, 고속철도신호설비 등에 대하여 다룬다.

  • ▸철도통신망(Railway Communication Networks)

    교환망, 방송망을 비롯한 네트워크의 개념으로부터 TCP/IP를 포함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이르기까지 통신망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응용계층의 경우 철도통신망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사례연구 중심으로 다룬다.

  • ▸전기철도공학(Electric Railway Engineering)

    전기전자공학을 비롯하여 토목, 기계, 교통공학 등이 종합적으로 취급되어지는 종합공학으로서 전기철도 기술을 위한 전기철도의 설계 및 건설, 원리 및 응용 등을 다룬다.

  • ▸철도차량시스템개론 (Introduction to Railway Vehicle System)

    철도차량의 구조 및 특성을 이해하고 주요장치(팬터그라프, 주회로차단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주간제어기, 계기표시기, 속도기록기 등) 및 제어회로(고압 및 저압 제어 회로, 제동제어회로 등)의 취급능력을 배양한다.

  • ▸철도통신공학(1),(2) (Railway Communication Engineering(1),(2))

    아날로그 통신과 디지털 통신에 대하여 배운다. 아날로그 통신은 기본적 이론으로서 퓨리에급수/변환, 주파수/스펙트럼에 대한 개념, 임펄스 응답 등 신호 및 시스템 해석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한 AM, SSB, FM, PM 등의 CW변조방식을 학습한다. 디지털 통신은 FSK, ASK, PSK, QPSK, QAM 등과 같은 기본적인 디지털 변조는 물론 대역 확산 통신 (Spread Spectrum)방식 등 이동통신을 위한 각종 이론을 배우며 디지털 코딩에 대해서도 학습을 한다.

  • ▸철도심화프로젝트(Advanced Projects for Railway)

    철도전기통신 분야의 전기/전자, 통신 및 안전관련 기술 현황과 발전 방향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각 분야 기술들의 융합적 활용을 통한 철도분야 전기/전자, 통신 및 안전 관련 분야 기술의 발달에 대한 지식과 탐구능력을 배양한다. 프로젝트 형 수업으로 진행되며 팀 스터디를 통한 발표력, 소통능력을 기른다.

  • ▸철도신호기기(Railway Signalling Machinery)

    철도신호설비의 각종 기기구성 원리를 알아보고 실험을 통해 각 기기와 장치들의 주요 기능을 실제로 다루어 본다. 철도 안전확보를 위한 궤도회로, 선로 전환, 연동논리, 진로확보 등에 사용되는 각 기기의 Fail-Safe회로의 구성과 적용방법을 확인하도록 하여 실무에 있어 확고한 이해와 적응능력을 기른다.

  • ▸철도통신망실무(Practical Communication Networks for Railway)

    철도분야에 사용되는 정보통신망의 구축과 유지/보수를 비롯한 관리 및 활용과 관련된 실무 지식을 배운다.

  • ▸전력공학(Electric Power Engineering)

    전력회로에 요구되는 AC-DC, DC-DC, DC-AC 전력변환장치의 원리를 이해하고, DC 초퍼, VVVF 인버터 등을 사용한 철도차량 구동시스템을 다룬다.

  • ▸유닉스시스템(Unix System)

    자동화된 시스템의 핵심 운영체제로 사용되는 유닉스 시스템에 대하여 배우고 익힘으로서 철도전기통신분야 자동화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컴퓨터활용 능력을 함양한다. 유닉스시템의 구조, 응용프로세스처리, 메모리관리, 시스템관리, 응용서버관리, 보안 및 안전관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 ▸고속철도시스템(High Speed Railway System)

    고속철도시스템의 구조, 현황을 비롯하여 고속철도시스템의 차량, 운전일반, 신호보안설비, 궤도, 통신 등의 내용을 이해한다. 차세대 초고속 열차인 자기부상열차의 원리 및 개발 현황도 다룬다.

  • ▸철도신호실무(Railway Signalling Practices)

    효율적인 신호제어를 위한 열차집중제어시스템의 구성과 원리, 안전도 향상과 수숭력향상을 위한 새로운 철도신호제어기법과 시스템을 실무를 통하여 익힌다. 고속철도를 비롯한 세계의 신호제어시스템의 기술과 현황에 관한 학습도 병행된다.

  • ▸전기철도구조물공학(Electric Railway Strutural Engineering)

    전차 선로에 대한 일반적인 개오, 전차선로의 특성 및 영향, 가공 전차 선로 구축에 따르는 각종 설비 등에 대한 구성요소, 특성, 역할, 그리고 전차선로에 공급하는 각종 방식과 이에 따른 설계, 해석을 통해 전기철도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철도현장실습(1),(2)(Railway Industrial Field Trainings(1),(2))

    철도시스템 일반, 철도차량의 구조 및 기능, 철도운전이론 등의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현장실기, 운전실무 및 모의운행 훈련, 비상시 조치 등의 실무를 철도운영기관에서 현장실습을 통하여 배운다.

  • ▸철도안전시스템(Railway Safety System)

    철도차량, 철도시설 및 승객에 관한 안전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에 관한 이론 및 실무를 철도 안전 관련 경험적 학습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고 이해하여 철도시스템 안전관리능력을 함양한다.

  • ▸전기철도실무(Electric Railway Practices)

    전기철도는 오늘날 수송수요증대에 대처하여 열차속도의 고속화, 고밀도화를 가능케 하는 한편 수송효율 및 여객서비스 향상과 안전 확보를 위한 제반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전기 철도에 대한 급전 계통과 해석, 전철 변전설비 전차선로 일반 등에 대한 지식을 실무를 통하여 습득하여 철도차량 내부의 전기적인 시스템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이동통신공학(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무선통신, 셀룰라통신, 모바일인터넷 등 이동통신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과 이동통신 장비에 대하여 살펴보고, 철도분야에서 이용되는 이동통신분야의 응용 사례를 기술적, 운용적 관점에서 심화 학습한다.

  • ▸철도통신실무(Railway Communication Practices)

    철도통신망 구축 및 관리/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기술에 대하여 익힌다. 철도시스템에 사용되는 정보통신망의 구축 및 각종 데이터의 수집/관리, 장애의 진단과 통보 등과 관련된 여러 기술을 익힌다.

  • ▸컴퓨터활용프로젝트(1),(2)(Computer Application Projects (1),(2))

    각종 자료의 분석과 집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레드시트의 사용법을 배우고 이를 활용하여 자료의 입력과 분석 방법을 익힌다.

  • ▸캡스톤디자인(1),(2)(Capstone Design (1),(2))

    철도전기/전자, 철도신호 및 통신분야, 철도안전분야를 비롯하여 철도기술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장치, 회로 또는 원리를 설계하거나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철도분야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팀 단위로 자기 주도형 과제를 선정하여 오픈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한다.

  • ▸철도관련법(Railway Safety Laws)

    철도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철도안전법을 중심으로, 철도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또한 철도안전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기타 관계법규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철도신호실무(Railway Signal Practice)

    철도현장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전기선로전환기의 간류조정법 및 사고발생이 빈번한 건널목 분야의 결선도 및 동작방법을 익히고, 전기계전 연동장치 결선방법을 위주로 직접 실습을 통한 실무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앞으로 점차 확대되는 전자연동장치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 ▸철도제어공학(Railway Control Engineering)

    철도의 전기, 신호, 통신 등 기반기술과 철도차량 및 관제설비 등 수송, 운용설비의 상호 유기적 제어시스템 구성관계를 알아보고, 각 분야의 제어시스템과 철도의 총괄시스템의 안정도, 명령추종, 외란제거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제어시스템의 안정도를 이루면서 나머지 제어목표들을 달성하는 철도제어시스템의 설계 와 통신공학 및 컴퓨터공학과 접목하여 제어시스템의 기술혁신 능력도 함양한다.

  • ▸신교통철도시스템(New Transit Rail System)

    철도기술과 첨단 전기전자 기술과 결합하여 정시성이 확보된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모노레일과 자기부상열차 등과 같은 새로운 도시형 철도교통시스템을 중점적으로 학습하고, 무인운전과 에너지절약형 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다룬다. 또한 간선철도와의 연계수단으로서 수송능력 향상 등 정책적 발전방안 등도 심화 학습한다.

  • ▸철도전기회로공학(Railway Electrical Circuit Engineering)

    철도 전기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회로 해석법을 다룬다. 3상회로, 비정현파교류, 단자망, 필터, 과도현상, Fourier 변환 및 Laplace변환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한다.

  • ▸디지털공학및실험(1),(2)(Digital Engineering & Exp.(1),(2))

    디지털회로의 기초가 되는 2진연산, 불대수를 비롯하여 조합회로, 플립플롭 및 순차회로를 익히고 그 응용으로서 논리회로 설계법을 배운다. 또한 전자계산기의 구조 및 응용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철도실무프로젝트(1),(2)(Practical Projects for Railway(1),(2))

    철도전기통신분야의 전기/전자, 통신 및 안전관련 기술현황과 발전방향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각 분야 기술들의 융합적 활용을 통한 철도분야 전기/전자, 통신 및 안전관련분야 기술의 발달에 대한 지식과 탐구능력을 배양한다.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진행되며 팀 스터디를 통한 통한 발표력, 소통능력을 기른다.

  • ▸글로벌철도프로젝트(1),(2),(3),(4) (Global Railway Projects (1),(2),(3),(4))

    전기 및 고속철도분야의 신기술 및 요소기술의 운용 및 발전동향의 탐구를 비롯한 사례조사 및 발표, 각 요소기술을 사용한 종합시스템으로서 철도기술에 대한 전문지식과 더불어 팀워크, 발표력 및 자료조사 등의 프로젝트 수행, 해외협력을 위한 국제간 소통을 포함한 글로벌 능력을 기른다.

  • ▸철도전자공학(1),(2)(Railway Electronic Engineering(1)(2))

    반도체 소자의 구조와 기본원리에 대해 공부하고,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및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원리를 알바본다. BJT와 FET의 소신호 등가 모델과 증폭기 해석 및 설계에 대해 학습하고, 귀환증폭기의 원리특성을 이해한다. OP-AMP의 특성을 이해하고 OP-AMP를 이용하여 발진기 등 응용회로 구성에 대해 공부한다.

메뉴 메뉴열기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철도전기융합학과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 054-630-1217   위치 : 우) 750-711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양대로 145 장영실관 2층 3212

Copyright © 2015 by DONGYANG UNIV. All Rights Reserved.

  • 경찰행정학과
  • 건축소방안전학과
  • 사회복지학과
  • 글로벌비즈니스학과
  • 도시문화컨텐츠학과
  • 항공서비스학과
  • 항공IT학과
  • 철도경영학과
  • 철도운전제어학과
  • 철도기계시스템학과
  •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철도전기융합학과
  • 유아교육과
  • 간호학과
  • 보건의료행정학과
  • 생활체육학과
  • 컴퓨터-정보통신군사학과
  • 컴퓨터학과
  • 공공인재학부
  • 안전공학부
  • 게임학부
  • 디자인학부
  • 공연영상학부
  • 본교(영주) 캠퍼스
  • 동두천 캠퍼스
  • 동양대학교 대학원
  • 동양대학교 입학처
  • 산학협력단
  • 연구지원관리
  • 학번검색
  • 본교(영주)캠퍼스생활관
  • 동두천 캠퍼스생활관
  • e클래스
  • 동양대학교 발전기금
  • 웹오피스
  • 학사인트라넷
  • 공무원사관학교
  • 인터넷증명발급
  • 학술정보원
  • 웹메일
  • 디지털학보
  • C&M
  • 한국학센터
  • 영어사관학교
  • 철도사관학교
  • STEP과정
  • 교육개발원
  • 국제교류처
  • 동양예술극장
  • 학생상담센터
  • 한국선비연구원
  • 인권센터